아래 내용은 MBC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의 방송내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http://remindof.tistory.com/1 )
2013년 9월 12일 방송내용
셰일가스와 관련된 최근 논의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셰일가스는 비전통가스라고 하여 존재여부는 100년전 부터 알고 있었으나 최근 발굴 기술이 개발되어 가스 시추가 가능해 졌다.
지하 깊숙히 암석층에 있다. 전통가스는 지표 가까이에 있는 것으로 둘 다 지표 밖으로 나오면 성분도 같고, 모두 동일하다.
최근 미국, 캐나다에서는 기술 개발에 성공하여 2009년 이후 대량 생산이 가능해 졌다.
매장량으로는 중국이 가장 많고, 남미 / 러시아에도 많은 양이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총 가스 생상량 중 셰일가스는 40% 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20%가 셰일가스이다.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수입되는 물량은 없으며, 2017년부터 매년 350만톤을 수입할 예정이다.
최근 민간기업에서 추가로 수입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천연가스의 소비가 가장 높은 국가는 한중일이고 우리나라의 경우 비싼 비용으로 수입하고 있는데
셰일가스의 수입량이 늘어난다면 싼 값의 가스를 수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셰일가스가 본격적으로 시추되어 생산된다면
관련된 산업도 많이 발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스를 옮기기 위한 LNG선박관련 조선 산업, 육상에서 옮기기 위한 파이프(관) 관련 사업,
정제/저장 등과 관련된 사업 그리고 이런 사업과 연계된 다른 사업(부품, 운송 등) 등
여러 관련된 산업이 발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참고
셰일가스 관련자료: http://blog.naver.com/kskim2k4/30135920307
셰일가스의 문제점: http://blog.naver.com/liber10/30173899798
[셰일가스] 에너지 혁명, 셰일가스(Shale Gas)의 모든것!: http://blog.naver.com/happykdic/40194352674